본문 바로가기
라이프

벌에 쏘였을때 응급처치 치료방법 벌쏘임 증상 예방 옷차림

by 블루파스타 2024. 2. 2.
반응형

 

꿀벌에 쏘였을 때, 말벌에 쏘였을 때

1. 8~9월에 벌 쏘임 사고가 증가하는 이유는?

그 이유는 8~9월이 벌의 산란기(알을 낳는 시기)이기 때문입니다. 이 시기에는 개체 수가 많아질 뿐만 아니라 벌이 사람의 작은 행동에도 민감하게 반응하여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2. 벌에 쏘였을 때 나타나는 증상

가벼운 증상→ 통증, 가려움증, 부종

과민성 쇼크(아나필락시스) 증상→ 호흡곤란, 가슴 답답함, 어지럼증

 

3. 벌에 쏘인 후 응급처치

벌에 쏘인 후에는 되도록이면 즉시 병원으로 이동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꿀벌보다 독성이 15~30배가 강하고, 여러 번 침을 쏠 수 있는 말벌에 쏘였다면 과민성 쇼크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즉시 병원으로 이동하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바로 병원에 갈 수 없는 상황이라면 먼저 환자를 벌이 없는 안전한 장소로 이동시켜야 합니다. 환자를 편안한 곳에 눕힌 후, 환자에게 어지럼증이나 두통 증상이 있다면 다리를 가슴보다 높이 올려 혈액순환을 유지하도록 해야 합니다.

꿀벌에 쏘였다면 신용카드 모서리 등을 이용해 빠르게 벌침을 제거하고 벌에 쏘인 부위를 비누와 물로 씻어내어 2차 감염을 예방하도록 해야 합니다. 말벌에 쏘였을 경우 벌침이 남아있지 않기 때문에 벌침을 제거하는 행위는 생략해도 됩니다. 

이후 벌에 쏘인 부위에 냉찜질을 15~20분간 실시하면 붓기와 통증을 가라앉히는 데 도움이 됩니다.

하지만 벌에 쏘인 후, 통증이 지속되거나 과민성 쇼크가 발생하면 즉시 119에 신고하거나 가까운 응급실로 신속하게 내원해야 합니다.

 

 

4. 벌 쏘임 사고를 예방하는 방법

  • 밝은 색 계열의 긴 옷 착용하기
    → 검고 어두운 색 계열의 옷에 공격성을 보임
  • 벌을 자극하는 화장품, 향수, 스프레이 종류는 사용하지 않기
  • 달콤한 향의 과일 및 음료 취급에 주의하기
  • 벌집 건드리지 않기, 벌에게 위협이 될 큰 동작 하지 않기

벌집 발견 시→ 자세를 낮춰 천천히 다른 장소로 이동하기

벌집 접촉 시→ 머리를 감싼 후, 20m 이상 떨어진 곳으로 신속 대피

반응형